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log4j 설정 서버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에러를 찾기 위해서 이클립스에서 디버깅을 하면서 찾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여러건의 request 가 동시에 발생할 경우에 에러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클립스 디버깅 화면에서 버그를 찾기는 쉽지 가 않다. 이럴 때는 가능한 많은 로그를 남겨서 디버깅을 해보는게 더 효과적일 수 있다. log4j 매뉴얼만 가지고는 log4j를 제대로 사용하기에는 좀 어려운 부분이 없지 않아 있는거 같다. 나도 처음에는 로그 파일 하나에 모든 로그를 남기고 로그 레벨 조정하는것도 별로 관심이 없었다. 그런데 실제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업무별로 로그를 남겨야 하는 경우도 많고 심한 경우에는 사용자 별로 로그를 남 겨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log4j에서는 이 모든것을 지원해준다. 그러나 log.. 더보기
이클립스 단축키 ■ 이클립스 편집에 관련된 단축키 - Ctrl + Alt + 방향키(위or 아래) 한라인이나 선택한 블록 라인을 복사한다. 이 단축키는 반복되는 문장이 많을 경우 굉장히 유용하다. 또한 클립보드에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더라도 지워지지 않는다. - Alt + 방향키(위or 아래) 한라인이나 선택한 블록 라인을 이동시켜준다. 지역변수에 멤버 변수로 옮기고자 할 때 유용하다. - Ctrl + shift + 방향키(왼쪽 or 오른쪽) 단어(토큰) 별로 선택하게 해준다. - Alt + Shift + 방향키(왼쪽 or 오른쪽) - Ctrl + shift + x 영문자를 대문자로 만들어준다. - Ctrl + shift + y 영문자를 소문자로 만들어준다. ■ 화면 이동에 관련된 단축키 - Ctrl + F6 열려 있는 파.. 더보기
ibatis 로그 레벨 조정 ibatis를 사용하다 보면 로그가 많이 보이는데 안보이게 하고 싶으면 로그레벨을 다음과 같이 조정하면 된다. log4j 설정파일이 프로퍼티 파일로 되어 있는 경우는 아래와 같이.. log4j.logger.com.ibatis=INFO log4j.logger.java.sql=INFO xml로 되어 있는 경우는 더보기
이클립스 탭 전환 단축키 변경하기 이클립스에서 탭 전환하는 단축키가 Ctrl+F6 로 되어 있는데 이를 자주 쓰는 단축키인 Ctrl+Tab 키로 바꿔보자 아래 그림에서 1.RemoveBinding 을 클릭해서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바인딩을 제거한다. 2.Binding 박스에서 Ctrl + Tab 키를 누른다 3.apply 버튼을 클릭해서 변경된 내용을 저장한다. 저장하고 나면 바로 Ctrl+Tab 키를 사용할 수 있다. 더보기
자바 charset 설정 String str ="한글"; byte[] b1 = str.getByte(); byte[] b2 = str.getByte("UTF-8"); 더보기
log4j tomcat 설정 log4j를 사용하면 좋은 이유를 몇가지 들자면, 1) 성능 문제 로그를 파일로 남기는 경우 파일 사이즈의 제한을 작게두게되면 파일에 대한 I/O가 자주 발생해서 성능을 떨어뜨리는 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2) 로그 레벨 조정 로그레벨을 실행중에 동적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로그레벨이 info 이상인 경우만 로그에 남게 하겠다던지, error 이상일 경우만 남겠다던지 이런 조정이 가능하다. 3) 응용 기능 fatal error 가 났다던지 아님 로그 리포트 같은걸 메일로 받고 싶은 경우 로그 설정파일을 설정해주면 가능하다. log4j 는 크게 3개의 component로 구성되어 있다. log4j:WARN No appenders could be found for logger (org.apache.cata.. 더보기
이클립스에서 .project 파일만 있는 프로젝트 임포트 하기 가끔 소스를 다운 받았는데 .project 파일만 있는 프로젝트 파일은 있는데 빌드 환경이 설정되지 않아서 이클립스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위 그림에서 보면 아이콘이 틀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빌드할 수 있는 환경이 설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나는 모습니다. 프로젝트의 속성을 보면 그림을 보면 Builders 에 아무것도 없다. 이런 경우 New를 해서 빌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수 도 있겠지만 힘들다. 그래서 환경 파일을 수정해서 빌드 환경을 만들어준다. .project 파일을 메모장이나 울트라에디트 같은 것으로 열어보면 Auction-mid-imageupmid 이런 형태로 되어 있다.. 뭔가 빈약해 보인다..그래서 여기다가 적절한값을 채워준다. Auction-mid.. 더보기
문자 인코딩에 관한 애기 인코딩에 관한 애기를 하고자한다. 1. 인코딩이란 무엇인가? 컴퓨터가 알고있는 문자는 0,1 이 두가지 밖에 없다. 그런데 사람이 쓰는 문자는 영어, 한글, 일본어 등... 엄청 많다. 그러면 사람이 쓰는 문자를 컴퓨터가 알아먹게 하기위해서 0, 1로 바꿔줘야된다. 그 바꿔주는 규칙을 정의해놓은것이 바로 인코딩이다. 인코딩중에 대표적인게 ascii 코드다. ascii 코드는 http://www.asciitable.com/ 여기서 확인가능하다. 그런데 이 ascii 코드는 1Byte로 구성되어 있다. 1Byte로는 각국의 언어를 다 담을수 없어서 2Byte짜리 Unicode를 만들어 냈다. 어..그런데 ascii로도 한글이 표현이 가능한데? 물론 가능하다.. 그렇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호환되게 사용할수가 없.. 더보기